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는 사실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국립국어원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맞춥법 검사기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는 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을까요?

그 이유를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1. 맞춤법 검사기 종류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취업준비생 뿐만 아니라 교사, 작가, 대학원생, 직장인 등 다양한 분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다양한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많은 분들에게 인정받는 맞춤법 검사기 리스트를 소개해 드립니다.

2.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실체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답변

국립국어원 맞춥법 검사기는 사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입니다.

히스토리를 간략히 설명드리면, 과거 국립국어원에서 한글 맞춤법 검사를 원하는 분들을 위해 홈페이지에서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링크를 걸어 안내한 이력이 있었습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의 교정 기능과 정확성이 무척 뛰어나기 때문에, 국립국어원에서 추천을 목적으로 대중에게 안내했던 것입니다.

그 이후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는 국립국어원의 맞춤법 검사기로 인식되었고, 아직까지도 오해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현재는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부산대 검사기 링크가 걸려 있지 않습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의 질이 떨어지거나 이용이 불편한 것은 전혀 아닙니다.

부산대학교의 맞춤법 검사기는 지난 20~30년 간 대중을 위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까지도 꾸준한 유지보수를 매주 진행하고 있는 훌륭한 서비스 입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에 대한 설명과 활용법은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소개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로 알려져 있는 부산대학교의 맞춤법 검사기는 2001년 이후 20년 이상 무료 제공 중인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 서비스입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메인화면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권혁철 교수님께서 개발하셨고,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에서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

1991년 개발을 시작으로, 2001년 웹서비스 배포 후 현재까지 무료로 대중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이나 학생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선의의 뜻으로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아래 유튜브 영상을 확인하시면, 교수님의 철학과 앞으로 계획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개발자 영상

2024년 정년퇴임 이후 개인의 신분으로, 맞춤법 검사기 유지 보수에 힘을 더 쏟을 예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검사기 2개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는 총 2개의 도메인으로 운영됩니다.

2023년 4월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를 하나의 IP에서 500만번 이상 사용하는 비정상적 접근이 있었고, 이후로 트래픽 과부하로 인한 서비스 이용 장애를 막기 위해 도메인으로 2개로 나누어 운영 중입니다.

각각의 맞춤법 검사기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어느 곳으로 접속하셔도 동일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1번 맞춤법 검사기 링크

http://speller.cs.pusan.ac.kr/

2번 맞춤법 검사기 링크

http://nara-speller.co.kr/speller/

사용방법

국립교육원 맞춤법 검사기로 알려진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사용법입니다.

오탈자 확인을 원하는 문장을 복사해주세요.

1) 복사 후 붙여넣기

맞춥법과 문법 검사를 해야할 문장을 [검사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검사하기 단축키 [ctrl+enter]를 입력하시면 더욱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붙여넣기 후 검사하기

2) 교정 확인하기

검사를 마치면 교정 대상문서와 교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정 대상 문서에는 원문과 교정 부분이 동시에 표시되어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정 내용에는 교정해야 할 문구의 원문, 대치어, 도움말 등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검사하기 후 교정

3) 교정 적용하기

교정할 부분을 확인했다면, 원문을 교정해야 할 차례입니다.

오른편의 교정 내용에서 대치어를 클릭하시면, 교정 대상 문서의 원문이 올바른 문구로 변경됩니다.

모든 교정작업이 완료되면 [원문 보사] 버튼을 이용해 기존에 작성하던 이력서 또는 자기소개서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참고로 한 번에 300어절, 약 1,400자의 문구만 검사할 수 있으니, 원문이 길다면 미리 나누어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검사하기 후 교정작업

4) 도움말 확인

교정할 내용이 있다면 오른편의 도움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정해야 할 부분의 문구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실수들을 예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맞춤법 표준안을 근거로 하는 설명을 통해, 다른 문장을 작성할 때의 오탈자 작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교정내용 도움말 확인

사용법 안내문

개발자 분이 직접 작성해서 안내하는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사기 우측 상단의 [온라인 검사기 사용법]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사용법 클릭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사용법

4.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특징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로 알려진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의 특징을 몇 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의 후기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1. 기본 소개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는 개인이나 학생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MS Word 또는 아래아 한글용 검사기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애초에 아래아 한글용 검사기에 부산대의 맞춤법 검사기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공신력이 있는 서비스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2개의 사이트

앞의 내용과 같이, 맞춤법 검사기는 총 2개를 운영 중입니다. 둘 중 어느 곳에 접속해도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트래픽 폭주로 서버가 불안정하거나, 시험기간과 같은 시즌 대학생 사용자가 많을 때 1번 사이트 접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때 보조 사이트로 이동해 문제없이 검사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만일 이렇게 했음에도 여전히 사이트가 느리거나 오류가 발생한다면 위에서 안내해드린 타 사이트의 검사기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다음 맞춤법 검사기,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 등 다양한 검사기가 존재합니다.

3. 도움말 피로감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인 도움말은, 어쩌면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불러 일으킬 수 도 있습니다.

물론 다수의 사용자들은 감사한 마음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과한 언어 순화나 문구 변경 제안이 불편했다는 후기들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정도 피로감은 이용에 있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4. 무료 제공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로 알려진 해당 검사기는 실제 정부 서비스라고 믿을법 한 부분이, 무료라는 점입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특히 학생과 개인을 위해 서버비를 지불하면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무료 사용

무료임에도 전혀 뒤처지지 않는 기능과 속도, 활용성으로 많은 존경과 칭찬을 받고 있습니다. 전업으로 글을 쓰시는 분들이나 빈번하게 교정 작업이 필요한 분들에게 빛과 소금과 같은 존재입니다.

5. 글자수 세기 기능

이력서를 작성하다 보면 글자수가 제한되어 있는 문항이 있습니다.

메모장이나 워드 등에서 초안을 작성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이 경우 작성한 글자수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맞춤법 검사와 글자수 세기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은, 전략적인 글쓰기에 정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5. 마치며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는 없다는 사실이 참 재밌지 않나요?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것이라 생각할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부산대학교의 검사기의 성능은 정말 놀랍습니다.

위 영상을 보시면 권혁철 교수님께서는 은퇴 이후에도 계속해서 맞춤법 검사기 유지보수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실 것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큰 뜻을 가진 한 사람의 노력 덕분에, 정말 많은 분들이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개발자의 선한 의도에 감사와 존경의 뜻을 보내드립니다.

게시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게시글을 평가해주세요!

평균 평점 4.9 / 5. 평가 수 1518

첫 평가자가 되어주세요!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