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케이패스 KPASS 신청 누리집 홈페이지 https://korea-pass.kr/

K-패스 (KPASS)는 2024년 5월 부터 시행되는 대중교통 할인 카드입니다. 기존 알뜰교통 카드가 케이패스로 통합되었습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케이패스는 특히 출퇴근이나 통학 등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원하실 경우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1. K-패스 주요 혜택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일반인, 청년층, 저소득층에 따라 혜택 비율이 달라지며, 아래와 같은 환급 비율이 적용됩니다.

  • 일반인 : 교통비의 20% (월 최대 18,000원)
  • 청년층 (만 19~34세) : 교통비의 30% (월 최대 27,000원)
  • 저소득층 : 교통비의 53% (월 최대 48,000원)

환급은 매월 말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별도 신청 없이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케이패스 지원 대상

K-PASS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성인

K-PASS 참여지역

전국 189개 시군구에서 K-패스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K-PASS 참여지역

지원 교통 수단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2. 케이패스 카드사별 혜택 (중요)

케이패스 카드사별 혜택

KPASS는 다양한 카드사를 통해 발급할 수 있으며, 각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이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 신한카드 : 기본 교통비 환급 외에 추가 적립 혜택 제공.
  • NH농협카드 : 전월 실적에 따라 모빌리티 서비스(버스, 지하철, 택시 등) 10% 할인, 이동통신 요금 5% 할인 등 혜택
  • 삼성카드 : 삼성페이와 연동하여 사용 가능, 모바일 이즐(EZL) 교통카드를 통해 혜택 제공
  • 우리카드 : 교통비 환급 외에도 다양한 생활 할인 혜택 제공


이 외 하나카드, BC카드, 현대카드, IBK기업은행, 광주은행 등 총 23개의 카드를 안내하고 있으며, 아래 확인하기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K-패스 신청 방법

K-패스 카드는 각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K-패스 누리집(korea-pass.kr)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에는 K-패스 앱이나 누리집에 접속하여 카드 등록 및 회원가입을 완료해야 합니다.

기존 회원과 신규 회원은 방법이 다르니 꼭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전환 방법과 기간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전환 하시면 하고, 신규회원은 신청 하시면 됩니다.

기존회원은 추가 발급받을 필요 없이,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전환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24년 06월 30일 까지 홈페이지에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해당자는 늦지 않게 전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케이패스 신규이용자 신청 절차

신규이용자는 간단하게 신청만 하시면 됩니다.

  1.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K-패스 누리집에서 카드 신청
  2. K-패스 앱 설치 후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3. 등록 완료 후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으로 혜택 적용

4. K-PASS (케이패스) 구매하는 곳

KPASS 구매처는 일반 편의점인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 에브리원 등에서 구입할 수 있고, 신용카드사 또는 체크카드사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5. 삼성페이와 K-패스 연동

삼성페이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이즐(EZL) 교통카드를 추가하여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삼성페이 앱에서 교통카드 추가 메뉴를 선택하고, 모바일 이즐(EZL) 교통카드를 선택한 후, 후불 교통카드로 등록하면 됩니다.

6. 케이패스 (K-패스) 장점

K-패스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출퇴근이나 통학으로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매월 나가는 교통비에 대한 부담을 상당 부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카드사별로 다양한 추가 혜택이 있어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혜택과 이벤트를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시마다 혜택을 누리며 교통비를 절약해 보세요. K-패스 신청 및 자세한 정보는 K-패스 누리집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게시글을 평가해주세요!

평균 평점 4.9 / 5. 평가 수 8985

첫 평가자가 되어주세요!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